Total 291건

  • 소식 Junhua Yu 교수, 국제학술지 Chemical Communications에 연구결과 Back cover선정

    □ Junhua Yu 교수 연구팀은 표면에서 발광하는 은 나노닷의 빠른 생성 조절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Chemical Communications의 Back cover로 선정 되었다고 전했다. □ 은 나노닷이라 명명되는 안정한 발광하는 은 클러스터는 일반적으로 용액 상에서 은 이온과 보호 그룹의 혼합물을 환원시킨 다음 환원된 은을 재배열하여 발광하는 클러스터를 형성함으로써 생성된다. 이렇게 용액 내에서의 직접적인 환원으로 생성된 은 나노닷은 초기에 대부분 적색 영역에서 발광을 보이고, 이어서 이를 천천히 산화시킴으로 다양한 황색, 녹색, 청색의 발광체를 생성 할 수 있다. 그러나 표면에서의 은 나노닷의 생성과 활성은 잘 연구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표면에서 근적외선 발광체의 생성이 용액 상에서 동일한 발광체를 생성하는 다른 방법보다 즉각적으로 훨씬 빨리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용액 내에서 직접적인 화학적 환원 또는 은 클러스터 이동에 의해 741nm 발광체(5'-CCCACCCACCCTCCCA-3')는 최대 발광 방출에 도달하는 데 하루가 걸린다. 그러나 표면을 통한 합성법에 의해 은 나노닷은 즉시 생성되었고, 그 발광세기는 이미 최대값에 도달했다. 또한 유리 표면의 은 나노닷은 용액에서와 유사한 안정성을 나타냈는데, 은 나노닷은 첫 번째 프린팅 한 달 후에도 여전히 감지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표면에 있는 단일가닥 DNA 분자의 동역학적 구속은 다른 은 나노닷 발광체에 대해 생성된 은 나노닷의 재구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성과는 흡착된 단일가닥 DNA의 자유도를 조절함으로써 표면에서 다양한 은 나노닷의 생성을 조정 할 수 있음을 제시한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화학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 (Chemical Communications)에 2022년 6월 14일자로 온라인 게제 되었다. 또한, 해당 저널 back cover로 선정되었다. □ 관련링크 논문링크: https://pubs.rsc.org/en/content/articlelanding/2022/cc/d2cc02678c Back cover 링크: https://pubs.rsc.org/en/content/articlelanding/2022/cc/d2cc90250h  

    2022-07-21

    Read More
  • 소식 [사범대학 카드뉴스] 6월호

    2022-06-30

    Read More
  • 소식 SNU NOW 안내

    *클릭시 SNU NOW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2022-06-23

    Read More
  • 행사 미네르바스쿨 창립학장 스티븐 코슬린 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초청강연

      1. 강연주제: The Science of Active Learning 2. 강 연 자: Stephen M. Kosslyn    (현) Active Learning Sciences 주식회사 창업자    (현) 파운더리칼리지 최고학술책임자(CAO)    (전) 미네르바스쿨 설립학장 및 최고학술책임자(CAO)    (전) 스탠포드대학 행동과학고등연구센터 센터장    (전) 하버드대학 심리학과 학과장, 사회과학부 학장 3. 일     시: 2022. 6. 27.(월) 14:00 ~ 15:30 4. 대     면: 사범대학 12동 401호(참석대상: 사전신청 선발 대상자) 5. 비대면(줌): https://bit.ly/snucoe2206 (참석대상: 서울대 구성원) 6. 문     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기획행정실(02-880-8875) ※ 강연은 서울대 구성원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인원 및 규모 제한으로 대면 참석은 서울대 구성원 중 선발된 대상자만 가능한 점을 양해부탁드립니다. ※ 입구에서 등록확인 절차가 있어 혼잡이 예상되니, 시작 15분 전까지 입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2-06-23

    Read More
  • 행사 [교육종합연구원] 2022년 제2차 교육종합연구원 교육포럼 개최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입니다. 2022년 제2차 교육종합연구원 교육포럼 개최를 안내드립니다. 6월 27일(월) 16:00부터 “급변하는 시대, 사범대 교육과정의 변화는 가능할까?,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접근, 그리고 교사교육자의 역할”이라는 제목으로 학술 포럼이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예비 교사 교육의 다양한 주체가 함께 모여 좀 더 나은 사범대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 지난 5개월 동안 어떠한 고민과 노력을 하였으며, 그 성과가 무엇인지 직접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소개합니다.  관심이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 일시 : 2022년 6월 27일(월) 16:00- - 장소 : 12동 401호 / 온라인 (https://snu-ac-kr.zoom.us/j/2525841749, Zoom 회의 ID: 252 584 1749) - 방식 :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오프라인 참여자들에게 간단한 다과와 음료 제공) - 주최: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 문의: 이혜경(hklee0710@snu.ac.kr)

    2022-06-21

    Read More
  • 행사 2022년 한국교육과정학회 특별 포럼 개최 안내

    2022-06-21

    Read More
  • 소식 [eduTV] '공감' 강연 6월 방송 안내

     

    2022-06-07

    Read More
  • 카드뉴스 [사범대학 카드뉴스] 5월호

    2022-06-03

    Read More
  • 언론 (성상환 교수) 다문화 청소년 지원 교육법 개정해야

    <다문화 청소년 지원 교육법 개정해야> 최근 다양한 이주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역에 따라선 다문화 학생들이 몰려드는 밀집학교가 생기는 등 교육 정책적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2008년 3월 제정된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따라 교육적 차원에서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초·중등교육법’에는 다문화가족의 구성원인 아동, 청소년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다문화 학생들을 맞춤형으로 지원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미약하여 교육수요의 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셈이다. (중략) 올해 4월 ‘LG와 함께하는 동아다문화상 시상식’에서 이주배경 청소년 4명도 수상의 주인공이 되었다. 필자는 심사위원장으로 활동하며 한국의 많은 다문화가족과 다문화청소년들이 어려운 삶의 과정에서도 묵묵히 성장해 오며 사회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사례들을 목격했다. 이제 급증하는 이주배경 청소년을 위해 관련 기관들이 어느 때보다 집중적이면서도 체계적인 지원정책을 펼쳐야 한다. 출처: 동아일보 (2022.05.16.) 기사 링크: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20516/113410887/1    

    2022-05-31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