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및 동정
Total 291건
-
행사 The SNU CER online international conference 개최
The SNU CER online international conference Examining Migration, Culture, Language and History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Date: December 16th , 2022, 9:00-17:30 (KST) ZOOM meeting ID: 958 4883 9815 교육종합연구원에서는 2022년도 2학기 온라인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 핵심 주제는 ‘교육의 관점에서 본 이주, 문화, 언어 그리고 역사’입니다. 이주와 문화, 언어와 역사가 맞물리는 다양한 주제들을 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합니다. 많은 국가의 다양한 연구자들을 초청하여 글로벌 관점의 심도 있는 풍성한 발표와 토론을 기대합니다. Seoul National University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SNU CER) will hold an onlin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The main theme is ‘Migration, Culture, Language and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We would like to discuss various topics where migration, culture, language and history intertwin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We look forward to in-depth and rich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from a global perspective by inviting various researchers from many countries. 참석 등록 (Registration):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e5P9seDER1EaRLwXpH4GvPg6sSIOl5smAEP9x65P_Lta1YKA/viewform?usp=sf_link 문의: minsso1202@snu.ac.kr (민소연 조교)
2022-12-20
Read More -
소식 성상환 교수(한국다문화교육학회장), EBS 교육진단 '다문화교육, 학교밖으로 확장되다' 패널 출연
한국다문화교육학회장인 성상환 서울대 독어교육과 교수는 지난 12월 1일 EBS 교육진단에 '다문화교육, 학교밖으로 확장되다'에 패널로 출연 하였습니다. 학교밖 다문화청소년 교육에서 교육부와 여성가족부 산하 기관들간의 공조가 부족하다고 진단했고 상호간 협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영상링크: https://www.ebs.co.kr/tv/show?courseId=40037176&stepId=60039265&lectId=60286268
2022-12-07
Read More -
소식 Junhua Yu 교수, 국제학술지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에 연구결과 Back Cover선정
□ 화학교육과 Junhua Yu 교수 연구팀은 클러스터 이동을 통한 발광하는 은 나노닷의 다색 형광단 생성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의 Back Cover로 선정 되었다고 전했다. □ 형광 반응의 공간 및 시간적 제어는 세포 염색 및 형광물질 프린팅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목적 스펙트럼적으로 순수한 발광하는 은 나노닷이 가시광선에서 근적외선 영역 전체에 걸쳐 고분자로부터 단일 가닥 DNA로의 은 클러스터 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생성됨을 보여준다. 이 전이과정에서 은 나노닷의 발광 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한편, 형광물질의 직접적인 생성과 비교하자면, 이 전이 전략은 또한 형광단 스펙트럼 범위 및 형광단 생성 속도와 관련하여 큰 이점을 보여준다. 더 인상적인 것은 다중 및 다목적 은 나노닷이 은 클러스터 이동에 의해 단일단계에서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의 적용성은 밝은 은 나노닷에 다양하게 프린팅된 ssDNA 분자를 시각화하여 용액과 표면 모두에서 입증되었으며, 이는 다양한 응용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본 연구성과는 은 클러스터 이동에 의해 단일단계에서 다중 및 다목적 은 나노닷이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미래에 이 전략은 생물학적 염색 중 단일단계 턴-온 과정 후에 여러 표적을 이미징 하는 것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프린트된 미세 패턴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시각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데 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벤스드 머티리얼즈 인터페이스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에 2022년 10월 19일자로 온라인 게제 되었다. 또한, 해당 저널 back cover로 선정되었다. □ 관련링크 - 논문링크: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02/admi.202201121 - Back cover 링크: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dmi.202270164
2022-10-28
Read More -
언론 성상환 교수(한국다문화교육학회장), 연합뉴스 주최 다문화포럼서 제언
성상환 한국다문화교육학회장, 연합뉴스 주최 다문화포럼서 제언 (서울=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초·중학교에 다문화 학생을 위한 특별학급을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다문화교육학회장인 성상환 서울대 독어교육과 교수는 22일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에서 열린 '2022 연합뉴스 다문화포럼'에서 '한국 사회가 지향해야 할 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했다. 성 교수는 발표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유관기관들이 서로 연계하여 다문화학생의 교육기회 보장, (이중)언어교육, 학교생활 지원, 진로지도 등의 시책을 마련하도록 하고, 실태조사를 하며, 다문화 학생의 학교 적응을 위한 특별학급을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초·중등교육법을 시급히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기존에 존재하는 다문화교육지원센터를 설치하거나 지정·운영할 수 있도록 규정함으로써 다문화 학생 지원과 교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연수, 다문화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내용이 지역 자원과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행령 차원이 아니라 이 같은 방향으로 초·중등교육법이 개정되면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이 보다 선진화되고 국격에 어울리는 글로벌다문화사회로 나아가는데 큰 인프라가 구축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다문화 학생들도 한국 사회에서 더욱 건강하고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고, 이들을 통해 한국의 학교도 더욱 형평성과 다양성이 넘쳐나는 교육 현장이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성 교수는 "더욱 적극적인 수요자 중심의 다문화교육정책을 펼치고, 영어를 포함한 이주민들의 외국어교육을 중심으로 한 국제교육특구를 다문화 학생이 밀집한 지역으로 지속해서 확대하며, 학교장의 권한을 강화해 자율적인 교과과정을 운영해 가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라고도 말했다. 최윤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2021년 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 '다문화 청소년의 특성과 현황의 이해'라는 주제발표를 했다. 최 연구위원은 다문화 청소년의 91.3%가 국내에서 성장한 경우라고 전제, 이들은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자녀로서의 성공모델을 제시하는 명실상부한 첫 주류집단이 될 수 있으므로 청소년 일반과의 비교를 통해 뒤처진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또 연령, 성장배경, 성별, 외국계 부모의 성별 등에 따른 특성들을 면밀하게 조율하고 세부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차등적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오은정 한성대 이민다문화연구원장, 강복정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가족서비스전문성향상본부장, 윌 프레드 국민대학교 기계공학과 재학생, 김현주 에누마코리아 임팩트파트너십 디렉터 등은 다문화 청소년 지원과 다문화교육 발전 방안 등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 기사링크: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455824?sid=102
2022-09-23
Read More